티스토리 뷰
[정보처리기능사-실기]04.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(네트워크 기초 활용 / 네트워크 프로토콜 파악 / 네트워크 핵심 알고리즘)
s._.young01 2023. 3. 14. 02:221. 네트워크 기초 활용
1) 네트워크 계층 구조
- 네트워크 :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or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
① 거리에 따른 분류
- LAN : 근거리 네트워크
- WAN : 광대역 네트워크
② 데이터 교환 방식
- 회선 교환 방식 :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정해진 후 동일 경로로만 전달
- 패킷 교환 방식 : 정보를 일정 크기로 분할 후 각 패킷에 송수신 주소 및 부가 정보를 입력
2) OSI 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7계층
- 하위 계층
① 물리 : 실제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
- 주요 장비 : 허브, 리피터
② 데이터링크 : 오류와 흐름을 제거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
- 주요 장비 : 브리지, 스위치
③ 네트워크 : 올바른 경로를 선택하도록 지원
- 주요 장비 : 라우터
④ 전송 : 송, 수신 프로세스 간 연결
- 주요 장비 : TCP/IP, UDP
- 상위 계층
⑤ 세션 : 송, 수신 간 논리적 연결
⑥ 표현 : 압축, 해제, 보안 기능 담당
⑦ 응용 : 사용자 친화 환경 제공
- 주요 장비 : 호스트(PC 등)
3) 네트워크 주요 장비
① 허브 : 분배기 역할
- 더미 허브 :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한 성형 구조
- 스위치 허브 : 데이터의 유무 및 흐름을 제어하는 지능형 허브
② 리피터 : 감쇠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역할
③ 브리지, 스위치 : 두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킹 장치
브리지 | 스위치 |
소프트웨어 방식 | 하드웨어 방식 |
저속 | 고속 |
동일 속도로 전송 | 다른 속도로 전송 |
2 ~ 3개 포트 | 수백 개 이상 포트 |
1 : 1 연결 | 1 : N 연결 |
Store and Forwarding | Fragment Free |
④ 라우터 :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로 다른 구조의 망을 연결하는 연동 장비
2. 네트워크 프로토콜 파악
1) 네트워크 프로토콜
-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
- 구문 (Syntax)
- 의미 (Semantics)
- 시간 (Timing)
-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종류
HTTP | 웹 상에서 데이터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|
FTP | 컴퓨터들 간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|
Telnet | 원격 통신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의 하나 보안성이 낮음 |
SSH | 원격 통신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의 하나 보안성 높음 |
rlogin | UNIX와 같은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되는 원격 통신 프로토콜 |
SOAP | XML 기반의 데이터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 |
TCP |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|
UDP | 신뢰성 낮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(TCP보다 전송 빠름) |
DHCP | TCP/IP 프로토콜 및 IP 주소 등을 자동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|
ARP | IP에 대응되는 이더넷 카드의 MAC을 검색하여 변환하는 프로토콜 |
RARP | MAC를 IP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 |
SMTP | 전자우편 송신 프로토콜 |
POP3 | 전자우편 수신 프로토콜 |
2) IP(Internet Protocol) 주소
- IPv4 / IPv6 의 비교
IPv4 | IPv6 |
32bit | 128bit |
8비트 씩 4부분(10진수) 000.000.000.000 |
16비트 씩 8부분(16진수) 0000:0000:0000:0000 |
브로드캐스트 방식 | 애니캐스트 방식 |
- 네트워크 클래스 : IP 대역대를 나누어 각 규모에 따라 관리하기 쉽게 표현
- A : 대형 기관
- B : 중형 기관
- C : 소형 기관
- D : 멀티캐스트용
- E : 연구, 실험용
3) TPC/IP 프로토콜
- TPC/IP 프로토콜 개념
- TPC와 UDP의 차이점
① TPC
- 수신 가능 상태와 수신 여부 등을 단계별로 체크해 데이터 전송
- 신뢰성 있는 전송을 확보
- 대표 서비스 : FTP, Telnet, Http, SMTP, POP, IMAP 등
② UDP
- 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뿐, 확인 작업을 수행하지는 않음
-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에는 부적합
- 대표 서비스 : SNMP, DNS, TFTP, NFS, NETBIOS, 인터넷 게임/방송/증권 등
3. 네트워크 핵심 알고리즘
1) 패킷 스위칭(패킷 교환)
- 패킷 교환 :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, 회선 교환 방식과 달리 짤막한 데이터 트래픽에 적합
① X.25
- OSI 7계층의 레이어 중 1 ~ 3계층까지 담당
- 성능 상의 오버헤드가 발생돼서 현재는 ISDN, ATM 등 고속망으로 대체됨
② 프레임 릴레이
- ISDN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
- OSI 7계층의 1 ~ 2계층만을 담당
- 가격이 저렴, X.25보다 우위에 있음
③ ATM
- 비동기 전송 모드, 스위칭 기법
- 연결형 회선이기 때문에 하나의 패킷을 보내 연결을 설정
- OSI 7계층과는 다른 고유한 참조 모델을 가짐
물리 계층 | 물리적 전송 매체 다룸 |
ATM 계층 | 셀과 셀 전송 담당 |
AAL 계층 | 패킷을 셀로 전송 후 다시 조립하여 복원 |
2) 서킷 스위칭(회선 교환)
- 네트워크 리소스를 특정 사용층이 독점함
- 독점 사용 때문에 전송이 보장된다는 특징이 있음
- 작업이 일어나는 동안 다른 기기들은 해당 경로를 사용할 수 없음
3) 라우팅 알고리즘
- 거리 벡터 알고리즘
- 라우터 간 최단 경로 스패닝 트리를 찾고, 최적 경로를 이용할 수 없으면 다른 경로 찾음
- 링크 상태 알고리즘보다 계산 면에서 단순함
- 링크 상태 알고리즘
- 라우터 간 모든 경로 파악 후 대체 경로를 사전에 마련함
- 거리 벡터 알고리즘에 비해 계산이 복잡, 트래픽을 광범위한 범위까지 전달
-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
RIP | 최초의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 벡터 알고리즘 활용 |
IGRP | RIP의 문제점 개선 네트워크 상태 고려해 라우팅 |
OSPF | 링크 상태 알고리즘 사용 정보가 전체 라우터에 동일하게 유지 |
BGP | 규모가 큰 네트워크의 상호 연결 대형 사업자간 상호 라우팅 |
'자격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능사-실기]05. SQL 활용 (DDL / DML / DCL / 데이터 사전 검색) (0) | 2023.03.19 |
---|---|
[정보처리기능사-실기]04.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(데이터베이스 종류 및 선정 /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활용 / 데이터베이스 관리) (0) | 2023.03.16 |
[정보처리기능사-실기]04.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(운영체제 기초 활용 / 기본 명령어 활용 / 핵심 기능 파악 ) (0) | 2023.03.08 |
[정보처리기능사-실기]03.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수행 (결함 관리 / 결함 조치 / 결함 조치 관리) (0) | 2023.03.08 |
[정보처리기능사-실기]03.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수행 (테스트 케이스와 테스트 오라클 / 테스트 자동화) (0) | 2023.03.05 |